Thinking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ML for System 분야의 유망 나는 NLP, CV, Compiler와 같은 분야가 향후 10년, 20년이 지나도 유망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한번씩 한다. 그러다가 내가 박사때 주력으로 연구할 System(Compiler, Architecture)에 ML를 활용하는 것이 미래에 유망할 지 지인과 토론했는데 짧게 결론을 내리자면 DAC과 같은 Hardware Community에서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을 paper로 친다. CGO, CC와 같은 경우는 5% 성능향상도 대단한 편이라, 컴파일러 커뮤니티는 '기존의 문제'를 '더 좋은 해결책'을 제시한 것을 중점적으로 본다. 따라서 학계에서 ML for system 을 논한다면, 인공지능 혹은 컴파일러 같은 커뮤니티에서 더 잘 쳐줄 가능성이 높다. 만약 학계.. 더닝 크루거 가을 학기 코스웍이 3주가 채 안남은 시점, 이제 석사 졸업하기까지 1년이 남았는데 아직 부족한게 너무 많은 것 같다. 올 11월에 Compiler Construction 제출하고 under review 상태로 미국 박사과정 컨택을 할지도 생각 중인데 학부때 알게 된 지인이 새벽에 SOP 자료를 건내주셔서(이미 미국 일리노이주에 가신듯하다) 거기에 자극받고 원래 계획인 내년 말에 지원하는 것을 올 연말 지원해볼 생각을 갖게 된거 같다. 그래서 급하게 계획을 수정해서 IELTS성적 만들고 SOP에 논문 실험까지 하반기에 모두 해버릴 생각인데.. 문제는 지금 구상하고 있는 Neural Architecture Search를 활용한 Compiler Autotuning을 하려면 기반 지식이 벌써 Compiler,.. 이전 1 2 다음